본문 바로가기
일상생활

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- 집에서 간편하게 3분만에 클리어!(유효기간, 검사비용, 검사항목, 온라인 발급 꿀팁)

by info-find-story-1 2025. 2. 25.
반응형

보건증은 음식 관련 업종에 종사하시는 사람들에게 위생과 건강 상태를 증명할 수 있는 필수 서류입니다. 음식을 다루는 직종에 종사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발급해야 하는 서류인데요.

보건소 방문 없이 집에서도 간편하게 인터넷으로 보건증을 발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- 집에서 간편하게 3분만에 클리어!(유효기간, 검사비용, 검사항목, 온라인 발급 꿀팁)

 

목차

1.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

보건기관 방문  없이 집에서 간편하게 온라인을 통해 제증명 발급을 신청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.

  •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> 민원서비스 > 온라인 제증명 발급 신청하기 > 건강진단결과서 (구보건증) 선택 >  PDF 저장

 

↓↓↓

✅ 발급 전 유의사항을 읽어보시고 온라인 증명 문서 발급을 위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서에 체크!

✅ 온라인 증명문서 발급을 위한 개인정보 수집 안내사항 고지애 확인을 체크하시고 간편 인증 클릭!

 

👉 간편 인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휴대폰 본인 확인이 필요하니 미리 준비하세요.

↓↓↓

 

 

✅ 여기까지 잘 따라오셨으면 채용신체검사서를 클릭 후 해당 서류를 출력하시면 됩니다.

 

 

  • 정부 24 > 보건증 발급 검색 > 건강진단결과서(보건증) 발급 선택 > PDF 저장

 

✅ 정부 24 홈페이지에 들어와 검색창에 보건증 발급이라고 검색

 

↓↓↓

 

 

✅ 건강진단결과서(보건증) 발급란에 발급하기 클릭!

✅ 로그인하신 후 발급받으시면 됩니다.

 

👉 보건증은 검 사 후 주말, 공휴일 제외 5일 이내에 발급 가능하며 보건소 영수증에 적혀있는 발급예정일자를 참고하시면 됩니다.

 

💡 온라인 발급 꿀팁 : 꼭 PDF파일로 저장하셔서 두 번 발급받는 번거로움을 덜으시기 바랍니다.

2. 보건증 유효기간

보건증은 유효기간이 만료되면  보건증의 효력이 상실됩니다. 식품업계에 종사하고 계신 분은 보건증의 유효기간이 만료되면 과태료 대상이 되므로 보건증은 유효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꼭 보건증 갱신을 하셔야 합니다. 

보건증 유효기간이 지나기 전에 날짜를 확인하시어 미리 보건증을 꼭 갱신하시기 바랍니다. (재발급과 갱신은 다릅니다.)

 

✅ 보건증의 유효기간은 업종에 따라 다르니 아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업종 검진일로부터
식품업  및 요식업 종사자 1년
교육시설(학교)종사자 6개월
유흥업소 종사자 3개월

 

3. 보건증 검사항목

 

✅ 보건증 검사 항목은 감염병 관련 검사가 주를 이루며 업종마다 차이가 있습니다.

업종 검사항목
식품업 및 일반 요식업 폐결핵, 장티푸스, 파라티푸스
단체급식(교육기관, 호텔 등) 결핵 장티푸스, 세균성이질, 파라티푸스
유흥업소 결핵, 장티푸스, 매독, 에이즈, 임질, 전염성 피부질환, 클라미디아

 

 

4. 보건증 검사기관 및 비용

✅ 보건증은 가까운 보건소나 지정 의료기관에서 검사하실 수 있습니다.

  • 보건소 이외에도 의료원, 사립병원 등 건강진단검사를 시행하는 병원에서 가능하나 사립병원은 보건증(건강진단결과서)의 인터넷발급이 불가능하고, 비용이 상대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.

✅ 검사비용

  • 보건소는 3,000원 
  • 의료기관 35,000~45,000원(기관에 따라 차이가 심함)

👉 가격 차이가 많이 나므로 보건소에서 검사하시길 추천드립니다.

반응형